DLT 분산원장, 블록체인, dag등에 집중해라. 왜 분산원장 분야가 제2의 인터넷이라 불리는지. 어떤 파급력과 변화를 가져올지를 공부해라. 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 분산원장 기술은 거래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화된 서버가 아닌 분산화 된 네트워크에서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기록 및 관리하는 기술 분산원장기술은 중앙 집중형 방식과 비교해보면 효율성, 보안성, 시스템 안정성, 투명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음. 기존 시스템의 경우 인증과 데이터 거래 증명을 위해 여러 중간 매개체 또는 인증기관이 필요했지만, 분산 원장 기술은 사용자가 거래 내역을 직접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이라는 차별성 존재. -> 중앙 서버와 집중화 된 시스템을 유지 및 관리할 필요가 없어..
20.05 ~ 22.02 ( ing ) 기간 동안 신입 인프라 관리를 하면서 느낀 점 # 데이터 센터에서 근무 - 서버 약 500~1000대 정도 0. 기본정보 4년제/컴공 지방 (3.5) 정보처리기사 정보보안산업기사 네트워크관리사 2급 리눅스마스터 2급 OCJP CCNA MOS master K-shield.jr , ICT 멘토링 수료 #실무면접 직무 - 서버 관리 (인프라 관리) - 요구사항 : NT/Linux 서버에 대한 이해, 네트워크 기초, 정보처리 기사 자격증 우대, Docker 사용 경험 우대 등 - 실무 면접 : (자기소개서 위주) Docker 사용해봤나? 리눅스 기반의 서버 운영해봤나? 해봤으면 주로 어떤 명령어를 통해 서버를 관리하였는지 설명해줄 수 있나? 궁극적으로 IT의 어떤 분야에 ..
- 글자 색 변경 home .bashrc - 해상도 변경 /etc/default/grub - 터미널 글자 크기 변경 setfont sun12x22 -grub 설정 적용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Microsoft UEFI 인증 기관 설정 Powershell 명령 Set-VMFirmware "가상서버이름" -SecureBootTemplate MicrosoftUEFICertificateAuthority - hyper-v 에서 centos설치 후 네트워크 연결 하는 방법 출처 : yoo-hyeok.tistory.com/8 [CentOS] Hyper-V를 이용한 CentOS7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내부, 가상IP) Hyper -V 와 CentOs7 버전을 기준으..
1. Variables, Data Type : 파이썬 변수,데이터 타입 - 임시로 혹은 영구적으로 값을 기억해두기 위한 저장소 - 프로그래밍에는 문자열, 정수, 문자 등 여러 데이터 타입이 존재함 ex) "test", 32 등 2. Function, If : 프로그래밍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반복되는 코드를 줄여주기 위해 사용 (function) 프로그래밍도 사람이 하는 것이므로 조건을 판단한 후 그 상황에 맞게 처리해야하는 경우 사용 (IF) 3. Loop : 이름 그대로 반복에 사용됨 ex) for, while .. 4. List : 파이썬의 자료구조 형태 중 하나로 리스트는 값을 나열하는 것 - 변경가능 ex) test = [1,2,3,4,5] 5. List, Dictionary : 단어그대로 사전, ..
# 배경 - 업무를 하다보면 네트워크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곳에서 작업을 해야할 때가 있음 - yum, apt-get 등을 통해 net-tools, vim 등 패키지를 설치해야하는데 네트워크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불가. - cdrom 을 통해 repository 설정 # CentOS 7 version cd /etc/yum.repos.d mkdir old_repo mv Cen* ./old_repo vim local_repo [local] name = local_repo baseurl=file:///media gpgcheck=0 lsscsi (cdrom 확인) mount /dev/sr0 /media/ yum clean all yum repolist
1. X.500 - 디렉토리 개념, 모델, 서비스 요약 2. X.501 - 디렉토리 모델 3. DAP(Directory Access Protocol) - DUA와 디렉토리 간 수행되는 프로토콜 4. DUA(Directory User Agent) - 사용자와 디렉토리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 수행 프로세스 5. Directory Service - X.500 표준에 정의된 Directory Service - Directory Service는 OSI 7 Layer의 응용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로서 정보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재공하는 서비스 6. LDAP (L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 ITU에서 개..
1. rsyslog란 무엇인가? - 어떠한 서버를 운영하건 로그를 분석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보안쪽으로 로그는 중요! - 원래는 syslog 사용 , 이제는 성능 개선 및 관리 편의성이 향상된 rsyslog를 사용한다고 함. 2. rsyslog 관련 파일 - /etc/rc.d/init.rsyslog : rsyslogd 데몬을 동작시키는 스크립트 - /etc/rsyslog.conf : rsyslogd 데몬 환경 설정 파일 - /etc/sysconfig/rsyslog : rsyslogd 데몬 실행과 관련된 옵션 설정 파일 - /sbin/rsyslogd : 실제 rsyslogd 데몬 실행 명령 #데몬(daemon) - 데몬이란 리눅스 시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며, ..